본문 바로가기

박노자2

북방에서 - 백석 북방(北方)에서 정현웅(鄭玄雄)에게 백석 아득한 옛날에 나는 떠났다 부여(扶餘)를 숙신(肅愼)을 발해(勃海)를 여진(女眞)을 요(遼)를 금(金)을 흥안령(興安嶺)을 음산(陰山)을 아무우르를 숭가리를 범과 사슴과 너구리를 배반하고 송어와 메기와 개구리를 속이고 나는 떠났다 나는 그때 자작나무와 이깔나무의 슬퍼하든 것을 기억한다 갈대와 장풍의 붙드든 말도 잊지 않었다 오로촌이 멧돌을 잡어 나를 잔치해 보내든것도 쏠론이 십리길을 따러나와 울든 것도 잊지 않었다 나는 그때 아모 이기지 못할 슬픔도 시름도 없이 다만 게을리 먼 앞대로 떠나 나왔다 그리하여 따사한 햇귀에서 하이얀 옷을 입고 매끄러운 밥을 먹고 단샘을 마시고 낮잠을 잦다 밤에는 먼 개소리에 놀라나고 아침에는 지나가는 사람마다에게 절을 하면서도 나는 .. 2006. 2. 11.
당신들의 대한민국 박노자, 당신들의 대한민국, 한겨레신문사, 2001 >>박노자 교수의 글은 주로 한겨레를 통해서 읽고 있었다.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의 한국학 교수라는 프로필과 그의 이름을 보고 나는 늙스구레한 아주머니 교수를 연상했었다. 그런데, 그 늙스구레한 할머니가 쓰는 글이 어울리지 않게 과격하다 싶긴 했다. 기억나는 이야기들은 특정 종교를 강요하는 한국 대학의 교원 임용 방식이라던가 조교들이 받는 불합리한 대우에 대한 문제제기, 그리고 수렵에 관한 비판 등이다. (그 이야기들은 대개 이 책에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박노자 교수는 늙스구레 하지도 않았고 아주머니도 아니었다. 눈빛이 맑을 것 같은 러시아 출신의 젊은 사학자였다. 귀화 한국인으로서 그가 까발리는 한국사회의 모습은 쉽게 부정하기 힘든 우리의 부끄러움이다.. 2002. 11. 25.